
수어교실
한글을 사용하여 표기한 단어는
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습니다.
1. 많은 수어 책에서 동일하게 표시 되고 있는 수어단어를 우선 선정하였다.
2. 단어의 의미나 어원을 쉽게 연상 할 수 있거나 유추할 수 있는 수어 단어를 우선 선정하였다.
3. 지역 명 중에는 농아인협회와 농아인교회에서 사용하는 것과 전북지역 지명을 더 선정하였다.
4. 종교 용어 중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종교단체에서 사용하는 것을 선정하였다.
5. 운동 용어 중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선정하였다.
6. 현재 사용되지 않는 단어의 수어는 제외하였다.
7. 지문자와 지숫자는 별도로 넣었고, 수어 · 지문자 · 지숫자의 설명에서 손가락을 사용 할 경우, 손가락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의 번호를 사용하였다.
8. 수어 · 지문자 · 지숫자의 설명에 사용한 손가락의 번호

엄지손가락 : 5지
집게손가락 : 1지
가운데손가락 : 2지
약손가락 : 3지
새끼손가락 : 4지
집게손가락 : 1지
가운데손가락 : 2지
약손가락 : 3지
새끼손가락 : 4지
▶ 개발위원 : 최현숙(수어통역사, 원광보건대학 사회복지학 겸임교수)
▶ 감수위원 : 안석준(수어통역사, 서울수어교육문화원 교육부장)
▶ 모 델 : 배유경, 유경수, 박혜령, 박도일
(참조 : 문화관광부 한국수어사전)
▶ 감수위원 : 안석준(수어통역사, 서울수어교육문화원 교육부장)
▶ 모 델 : 배유경, 유경수, 박혜령, 박도일
(참조 : 문화관광부 한국수어사전)